XPLATFORM 101

- Form > go


특정 URL을 입력하면 해당 FDL을 로딩하는 메소드입니다.

한번 가면 다시 오지 않습니다.

레퍼런스도 넘기지 않아 돌아올 방법이 마땅치 않네요. ^^

form.go("Sample_Form::Form_Timer_0.xfdl");

와 같은 식으로 사용합니다.


- Form > print


폼을 이미지로 내보내거나 출력하는 메소드에 대한 설명입니다.


- saveToImage

폼을 이미지 파일로 내보내는 메소드입니다.

BMP, JPG, TIF, GIF, PNG 형식을 지원하며

JPG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-100 사이에서 품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(기본값은 50입니다).

해당 기능은 Div 속성으로도 제공되기 때문에 원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
- print

폼을 프린트로 출력하는 메소드입니다.

기본값은 true 인데 false 로 선택한 경우에는 프린터 설정창이 나오지 않고

기본 프린터로 바로 출력이 됩니다.


* 추가적으로 saveToImageObject 메소드를 사용하면 ImageViewer 에 바로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고

해당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.

* saveToImage를 사용하게 되면 배경이 투명하게 설정된 경우 애매하게 되는데

이런 경우 이미지 오브젝트로 변환하고 다시 처리하면 잘 되는것 같기도..^^

http://cafe.naver.com/xplatform101/218 

XPLATFORM 101

- Form > Timer


Form 항목에는 여러가지 잡다한(?) 기능에 대한 설명입니다.

먼저 타이머..


- setTimer

지정된 아이디로 타이머를 생성하는 메소드입니다.

이렇게 생성된 타이머는 ontimer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.


- ontimer

타이머가 설정된 경우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.

TimerEventInfo에서 이벤트의 아이디와 속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- killTimer

타이머를 제거하는 메소드입니다.



*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메소드가 없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타이머를 제거하고 다시 만들어야 하는군요. ㅠㅠ

* 타이머의 동작 시간은 운영체제나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시간을 만들지는 않는다는 거죠.

예를 들어 1ms 로 데이터를 변경하는 이벤트와 10ms로 설정했을 경우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.

http://cafe.naver.com/xplatform101/217 

XPLATFORM 101

- UserObject > User Object


User Object 는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엄청난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 기능입니다.

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잘못 만들어진 User Object 는 쓰나미와 같은 재앙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
기본적인 설계에서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전체 프로젝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해야 하며

그렇기 때문에 기술도 중요하지만 경험이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.


엑스플랫폼 UX 스튜디오에서는 간단하게 User Object 를 만들 수 있습니다.



메뉴에서 New > Item > User Object 를 선택하시면 새로운 User Object 를 설정하기 위한 대화상자가 나옵니다.



기본 Object 클래스를 선택합니다. 선택된 클래스를 확장하는 개념입니다.

TypeDefinition에 포함 여부를 선택하는 옵션은 지금 선택하지 않아도 나중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만 추가해놓은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.


이렇게 만들어놓고 나면 아무 설명도 없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지정된 이름으로 생성됩니다.



확장자는 자동으로 xjs 라는 확장자가 붙습니다.

여기에 변수를 추가하고 생성자 함수, 이벤트, 메소드, 속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
이렇게 추가된 메소드나 이벤트는 User Object 를 사용할때 UX 스튜디오내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

또한 set, get 선언을 한 경우에는 개발 과정에서 쉽게 속성 정의만으로

원하는 정의를 할 수 있게 됩니다.



아직은 몇몇 기능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

기본적인 내용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

툴에서 제공하는 편의성도 기본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는..^^

http://cafe.naver.com/xplatform101/2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