XPLATFORM 101
이전에 작성된 글 중에서 String에 대해 설명하면서
문자열 리터럴을 잠시 언급한 적이 있었습니다.
http://cafe.naver.com/xplatform101/252 

그때에는 정확한 의미를 몰랐는데
이를 다시 정리합니다.

리터럴이라는 것은 자신의 표기법이 곧 자신의 값이 되는 상수를 의미한다고 합니다.
음 역시 한국말이지만 잘 이해가 안됩니다.
위키백과에 보면 소스코드의 고정된 값이라고 설명하고 있네요.

그냥 소스 코드를 보는 것이 더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.
var dog = {
name: "Benji",
getName: function() {
return this.name;
}
};
dog 라는 객체를 위와 같이 선언할 수 있습니다.
이 녀석을 debug 모드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new Object() 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았는데도
dog가 Object 로 정의되고 name 이라는 속성과 getName 이라는 function을 가지고 있네요.

아래와 같이 호출해볼 수도 있습니다.
function a() {
trace(dog.getName());
}

function b() {
trace(dog.name);
}

객체 리터럴 표기법은 간결한 표기가 가능하고
생성시점에 객체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.

사용방법은 위에서 본 것처럼 객체를 중괄호 {...} 로 감싸고
객체내 속성과 메소드를 쉼표로 분리하고
속성명과 값은 콜론으로 분리합니다.
그리고 마지막 닫는 중괄호 뒤에는 세미콜론으로 마무리를 합니다.

이렇게 써보니 무척 흥미로운 녀석이네요.

http://cafe.naver.com/xplatform101/332